본문 바로가기

경제, 금융상식

자기자본수익률

 

자기자본수익률

자기자본수익률이란 1년 동안 벌어들인 총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것입니다.

자기자본수익률 = 총이익 / 자기자본

총이익 = 엄밀히 말하면 세후순이익이라고 해야 한다.
하지만 이해에 무리가 없을 것 같아 이렇게 표현했다.

자기자본 = 주주들이 투자한 돈,
엄밀히 말하면 자기자본="자본금+법정준비금+잉여금"


예를 들어 보겠습니다.
(주)엄청나 "가 1년동안 장사를 해서 벌어 들인 총이익이 2억 이고 자기자본이 20억 이라면 자기 자본수익률은 얼마가 될까요? 너무나 쉬운 계산이죠? 2억/20억=0.1이니까 " (주)엄청나 "의 자기 자본수익률은 01, 즉 10% 가 됩니다. 일일이 계산 하기 싫은 사람은 투자편람이나 자신이 거래하는 회사의 홈페이지에 가보라.

그러면 자기자본수익률의 의미는 무엇일까요?
자기자본수익률은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내었는가를 나타냅니다. 쉽게 말해 주주의 돈을 얼마나 잘 굴려서 돈을 벌어 들었냐는 것입니다. 만약 자기자본수익률이 5%라면 개판이라고 봐야 합니다. 자기자본 수익률이 5% 라는 것은 주주들이 투자한 돈으로 겨우 5%의 수익을 올렸고, 경영자의 몫이나 노동자의 몫으로 얼마의 수익을 떼주면 주주들에게 떨어지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이야기가 되니까요. 주주들은 그런 회사에 투자할 바 에야 은행에 돈을 쳐밖아 놓은 것이 좋습니다. 


우리나라에서는 10% - 15%면 엄청나게 좋은 회사입니다. 우리나라는 주주를 우습게 보는 나라잖아요. 소액주주라면 더욱더... 주주의 돈은 전혀 비용이 들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거죠.

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자기자본 수익률이 10% - 15%정도가 되면 적극적으로 매입을 고려해볼만 합니다.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은 부채가 많은 기업은 의외로 자기자본 수익률이 높다는 것입니다.

예를 들어 봅시다.
자지자본 10억, 타인자본(=부채) 30억으로 구성된 40억 규모의 회사가 1억의 돈을 벌어 들였다고 합시다. 그러면 이 회사의 자기자본 수익률은 10%가 됩니다.(1/40=0.1) 상당히 좋은 수준이죠.
하지만 부채비율(타인자본/자기자본)은 300%로 언제 넘어질지 모릅니다.(30/10=3) 반면에 자기자본이30억,타인자본 10억으로 구성된 40억 규모의 회사가 1억의 돈을 벌어 들였다고 합시다. 그러면 이 회사의 자기자본수익률은 3%가 됩니다. (1/30=0.03) 상당히 낮은 수준이죠.
하지만 부채비율은 30%(10/30=0.3)밖에 되지 않아 절대로 부도가 날 염려는 없죠.

예에서 살펴본 것처럼 자기자본수익률이 높다고 무조건 침 흘리고 달려 들 것이 아니라 부채가 높아서 그런것이 아닌지 살펴 보아야 합니다.

 

자기자본 수익률(ROE)은 재무제표상에서는  (당기순이익/자본총계) * 100 으로 계산 할 수 있으면 10 ~ 15% 이상이상 투자 할 만한

 

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

'경제, 금융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출자전환  (0) 2012.01.26
스팩이란?  (0) 2012.01.19
서킷브레이커, 사이드카  (0) 2011.12.01
자본잠식이란?  (0) 2011.11.29
무상증자  (0) 2011.11.24